회기동 단편선의 이글루스 블로그입니다. Hoegidong Danpyunsun

이곳은 회기동 단편선의 이글루스 블로그입니다.

한때는 여러 용도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주로 기고한 글 등을 아카이빙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기동 단편선의 최근 소식들은 ↓에서 더 빠르게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twitter: @danpyunsun

트위터는 사적인 용도로 주로 사용합니다. 공연소식 등, 조금 더 오피셜한 소식들은 페이스북 페이지로 업데이트 됩니다. 취향껏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는 모호 [따듯한눈썹은되고싶지않아요] Writing



* 앨범 보도자료에 포함된 글입니다.
* 앨범에 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이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아홉곡이 30분 가량에 담겨있다. [따듯한눈썹은되고싶지않아요]는 나는 모호의 첫번째 정규 음반이다. 나는 모호는 모호의 솔로프로젝트이다. 모호는 지난8월 [팔랑귀]라는 EP로 데뷔한 3인조 록 밴드 구텐버즈에서 기타와 보컬을 담당하고 있다. 모호는 구텐버즈로 정력적인 활동을 이어가는 와중에도 가끔씩, 포크 기타 한 대 만을 들고선 작은 무대에 올라 혼자만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풀어 나가곤 했다. 모호는 전부터 자신의 포크송들을 녹음하고 싶다 말해왔다. 그러나 바람이 실제가 되기까진 적 잖은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음반을 들어보면, 역시 늦게라도 나온것이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촘촘하게 짜인 어레인지를 바탕 삼아, 3인조 임에도 매 번의 라이브 마다 에너제틱한 연주를 들려주는 구텐버즈의 음악을 기억하는 이에게 나는 모호의 단정함은 조금 당황스럽게 다가올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내 일맥상통한 정서를 발견할 수 있기도 하다. 단서는 주로 구텐버즈의 불안하고 외로운 곡들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테면 음반의 첫 트랙, '그대를보낸다'에서 모호는 귀여운 실로폰 소리와 명랑한 통기타 스트로크사이로 나지막히 “잠이라도 들 참이면 울어대며 생을 마감하는 매미소리” 와 같이 서늘한 노랫말을 실어보낸다. 역시 밝은 뉘앙스의 다음곡 '편서풍'에서도 모호는 “뒤집어진 요트”와 “구름진 기침” 같은, 불안하고 모순적인 이미지들을 배치한다. 비슷한 작법이 음반 전체에 걸쳐 즐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타일을 설득력있는 형태로 완성시킴에 있어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은 역시 모호의 목소리다. 날카롭고 거친 보컬을 선보였던 구텐버즈 때와는 달리 이 음반에서 모호는 낮고 조용한 목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원래의 장기였던─팜므파탈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는─허스키한 보이스에 앳된 소녀의 목소리같은 톤이 섞여 들어가며 이상한 기분을 느끼게 만든다. 하지만 그 이상함은 부담스러운 종류의 것이 아니며, 사운드와 가사와 함께 미묘하게 맞아 떨어지며 오히려 다양한 감정과 생각을 불러 일으키는 촉매와 같은 작용을 한다. 이 음반의 가장 멋진 순간들은 그로부터 탄생한다.

전반적인 스케일이 크지 않아 야심작보다는 소품집에 가까운 인상을 준다. 그러나 그것이 만듬새가 좋지 않거나 대충 만들었음을 의미하진 않는다. 음반에 담긴 트랙들은 저마다의 충분한 완결성을 갖추었다. 또한 입체적인 내래티브를 담아 좋은 구성을 보여주는 노래들도 있다. 무엇보다 한국적인 포크송으로 들리면서도 콕 집어 ‘누구’의 계보를 잇고있다 말할 수 없다는 점도 강점으로 작용한다. 나름의 독자적인 문법을 갖추고 있는 좋은 송라이터의 데뷔작이다. 듣지않을 이유가 없다.

- 음악가 단편선

대중음악웹진 보다 2013 연말결산 Hoegidong Danpyunsun

웹진 보다에 연말결산 했던 것. http://bo-da.net/entry/1202

제 코멘트만 정리해서 올려둡니다. 기록용. 윤영배, 404, f(x), 진보의 신작에 대해서 언급했습니다.

>>

윤영배 [좀 웃긴]

송라이터로서의 윤영배가 한 경지에 이르렀다는 것은 이미 공인된 사실이다. 그의 송라이팅은 하나음악으로 대표되는 1980~1990년대 한국 포크 팝 스타일의 완성형이라 볼 수 있다. 그는 그 씬의 모든 미덕을 담지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미 다 끝난 얘기' 같은 전 세대의 스타일을 잇고 있음에도 그의 음악은 여전히 진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EP인 [좀 웃긴]에서 그러한 진보는 주로 사운드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적당한 스피커를 사용해 보통의 한국 포크 음반과 이 음반을 비교해 들어본다면 더욱 확실해질 것이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이 음반의 사운드는 굉장히 입체적으로 구성되어있다. 넓지도 좁지도 않은 적당한 너비의 스테레오 공간 위에서 악기들은 저마다의 '좋은 곳'에 자리를 틀곤 잘 정련된 연주를 들려주고 있다. 배치와 배분. 댐핑감 좋게 앞으로 튀어나오는 악기는 없지만 대신 조화롭고, 편안하며, 효율적이다. 금욕주의적인 사운드의 이상이 실현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본인의 송라이팅 스타일과도 정확히 맞아떨어진다.

여담이지만 최근 한국의 젊은이들이 만들고 있는 포크 팝의 사운드는 1) 알맞지 않은 로파이 레코딩(과 질 낮은 송라이팅)으로 본연의 소박함을 헤치고 있거나 2) 명확하게 들리는 쪽을 선택함으로서 스탠더드 팝 사운드와 아무런 차이가 없어지거나 3) 소박한 사운드라는 지향은 살렸으나 역으로 무미건조해져 '듣는 재미'가 없어지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생각이다. 대가인 조동익이 어레인지를 담당한 이 음반은 여전히 '고수'와 '작가주의'가 의미 있다는 당연한─하지만 쉽게 잊히곤 하는─사실을 다시 환기시킨다. 미안하지만 포크 팝계로 한정한다면 여전히 1980~1990년대가 승리하고 있다.

*몇 가지 포인트에 대해선 언급하고 싶다. <좀 웃긴>에서 스테레오로 녹음된 청량한 포크 기타 사운드. <소나기>의 딜레이 걸린 일렉트릭 기타. <죽음>에서 무겁게 내려앉은 저음역대의 신서사이저. (단편선)

>>

404 [1]

-이 음반에는 (목소리를 제외하면) 기타와 드럼 소리만이 담겨있다.

-이 음반에는 창조적이고 재미있는 리듬이 담겨있다. 한국에는 원래 창조적이고 재미있는 리듬이 담긴 음반이 별로 없다. 이 음반은 끝날 때까지 평범한 8비트 고고를 한 번도 연주하지 않는다. '요즘 음악'이라면 그게 정상인 것 같기도 하다.

-이 음반에는 자신의 역할이 기본적으론 리듬 악기에 가깝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기타리스트가 만든 기타 리프들이 담겨있다. 한국에는 원래 리듬을 고려하면서 연주하는 기타리스트가 별로 없다. 게다가 펜타토닉 스케일을 너무 많이들 쓴다. 이 음반은 끝날 때까지 펜타토닉 스케일과 초킹을 이용한 블루지한 기타 솔로를 한 번도 들려주지 않는다. '요즘 음악'이라면 그게 정상인 것 같기도 하다.

-전반적인 디렉팅을 겸하기도 했던 기타리스트 정세현은 포스트 펑크와 크라우트 록에 대한 애정을 종종 피력해왔다. 하지만 동시에 뽕에 대한 애정도 종종 피력해왔다. 이 음반은 헤비메탈에 판소리와 태평소와 장구를 섞는─대부분 멍청한 결과로 귀결되는─짓거리를 하지 않고도 뽕의 정서를 잘 체현해냈다. 멍청하게 말하자면 '글로컬'하다 할 수도 있겠다. '요즘 음악'이라면 그게 정상인 것 같기도 하다.

-이 음반의 사운드는 로-파이하지만 오히려 효과적으로 느껴진다. 한국에선 원래 로-파이하면 100에 90은 망한다. 하지만 이 음반은 안 망했고 오히려 특수한 질감의 공간을 만들어냈다. '요즘 음악'이라면 그게 정상인 것 같기도 하다.

-이 음반은 영리하지만 재수 없는 것은 아니다. 어쨌건 우리는 이제야 정상적인 '요즘 음악'이 담긴 CD 한 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단편선)

>>

f(x) [Electric Shock]

이 음반에 대해선 이미 가장 좋은 글이 나왔기 때문에 뭐라 더 붙일 것이 없다. 이 글을 읽어라. http://verymimyo.egloos.com/5646158 (단편선)

>>

진보 [KRNB]

-이 음반은 정규음반이 아니라 믹스테이프다. 실은 음반이라 부르는 것도 조금 어려운데 인터넷을 통해 음원으로 공개되었다(비매품 형태로 실물이 제작되었을 수도 있지만, 나는 아직 본 적이 없다). 하지만 어차피 음반이 나오건 말건 대부분 디지털로 듣는 마당에 음원으로만 풀렸다고 '올해의 음반'으로 추천하지 않는 것도 이상하다. 게다가 좌우지간 13트랙이라서 구색도 맞다.

-완성도가 높은 음반은 아니다. 전체적으로 잘 조율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 가끔씩 쳐지는 느낌도 든다. 믹싱도 아쉬운데 의도에 비해 로-파이하게 들리는 측면이 있다 생각된다. 그걸 원한 것 같지는 않다. 어떤 이들은 그가 '옛 가요'와 '아이돌 팝'을 커버했다는 점을 높이 사는 것 같은데 막상 들어보면 원곡을 충실하게 살린 것도 아니고 디제이 소울스케이프의 작업들처럼 '재발견'의 측면이 있는 것도 아니라서 그 부분도 장점이라기엔 애매하다.

-그럼에도 이 음반에는 좋은 음악이 담겨있다. [Afterwork]보다 더욱 좋은 목소리를 들려주고 있으며 (역시 전작에 비하면) 오밀조밀한 맛과 위트는 떨어지지만 기본적으론 더욱 좋은 어레인지를 들려주고 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다 치우더라도, 이 음반이 올해 한국에서 가장 들을만한 네오 소울임에는 변함이 없다. (단편선)

1 2 3 4 5 6 7 8 9 10 다음